AI 백과사전

인공지능 바둑기사 알파고 제로 마스터 진화 과정

aijobsapiens 2025. 7. 4. 09:00

인간을 넘어선 인공지능 바둑기사 알파고, 알파고 제로, 알파고 마스터의 진화 과정

2016년 인류는 역사적인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바둑 세계 챔피언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 알파고에게 패한 그 순간이죠.

하지만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그 뒤로도 알파고는 계속 진화하며 알파고 제로, 알파고 마스터라는 새로운 형태로 발전해나갔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특징과 차이점 그리고 인공지능 발전이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정리해봅니다.

 

인공지능 바둑기사 알파고 제로 마스터 진화 과정

알파고 : 구글 딥마인드의 야심작

알파고는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입니다.

이 AI는 사람의 기보 데이터를 학습한 후 강화학습을 통해 실력을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작동했어요.

인간의 전략을 학습한 AI 초기 알파고는 수많은 프로기사의 기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했습니다.

 

즉, 인간의 경험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이 바둑을 이해한 셈이죠.

2015년 유럽 챔피언 판후이 2단을 꺾으며 첫 공개됐고 2016년에는 이세돌 9단과의 5번기에서 4승 1패로 승리하며 세계적으로 큰 충격을 안겨주었습니다.

게임의 방식과 구조

알파고는 정책망(Policy Network)과 가치망(Value Network)을 활용합니다.

정책망: 다음 수를 어디에 둘지 예측

가치망: 이 수가 이기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될지를 판단

그리고 수백만 번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수를 선택하도록 학습되었습니다.

 

인공지능 바둑기사 알파고 제로 마스터 진화 과정

알파고 제로 인간을 뛰어넘다

인간 기보 없이 스스로 학습 알파고 제로는 기존 알파고와 완전히 다릅니다.


가장 큰 특징은 인간의 기보 데이터를 단 하나도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제로는 무에서 시작해서 스스로 바둑을 학습했습니다. 오직 강화학습만으로 자신의 실력을 키워간 것이죠.

이 방식은 '탭루라사(tabula rasa, 백지 상태)'라 불리는 AI 자율 학습 모델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1. 성능은 얼마나 뛰어났을까?

알파고 제로는 겨우 3일 만에 이세돌을 꺾었던 알파고를 완전히 능가했습니다.

이후 21일 학습한 버전은 알파고 마스터를 포함한 이전 모든 버전의 AI를 100:0으로 이겼어요.

즉, 인간이 만든 기보조차 필요 없을 정도로 독창적인 수법과 전략을 스스로 만든 셈입니다.

2. 구조의 간결화

알파고 제로는 이전보다 훨씬 단순한 구조를 가졌습니다.

정책망과 가치망을 하나의 뉴럴 네트워크로 통합하고 훨씬 적은 컴퓨팅 자원으로 더 빠른 학습 효과를 거뒀습니다.

 

인공지능 바둑기사 알파고 제로 마스터 진화 과정

알파고 마스터 : 완전체의 진화

정체를 숨긴 채 등장한 신의 수 알파고 마스터는 알파고와 알파고 제로의 중간 단계쯤 되는 존재입니다.


2016년 말부터 온라인 상에서 익명의 유저로 활동하며 세계 최정상 프로기사들을 상대로 60전 60승을 기록했죠.

세계 각국의 정상급 기사들이 알파고 마스터에게 패했고 당시만 해도 누구도 그것이 인공지능인지 몰랐습니다.

나중에서야 구글 딥마인드가 알파고의 새로운 버전임을 밝히며 큰 이슈가 됐습니다.

전략은 더 정교하고 다양하게

알파고 마스터는 더 짧은 시간 동안 더 정교한 수법을 구사했습니다.


초반 포석과 중반 전투에서 기존 인간 바둑에서 보지 못한 패턴이 자주 등장했어요.

이 때문에 마스터와의 대국을 통해 실제 프로기사들의 스타일도 변화했다고 평가됩니다.

 

인공지능 바둑기사 알파고 제로 마스터 진화 과정

알파고 시리즈가 남긴 것들 인간을 뛰어넘은 AI

알파고는 단순히 바둑에서 이긴 AI가 아닙니다.


인간의 직관과 경험이 절대적이라고 믿었던 영역에서도 데이터 기반의 학습과 자기 진화를 통해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AI 기술의 확장 가능성

알파고의 기술은 단지 바둑에만 쓰인 게 아닙니다.


의료, 물류, 재무, 과학연구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어 실제 문제 해결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강화학습’ 기술은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어요.

알파고 시리즈는 인공지능의 발전을 대중에게 강하게 인식시킨 사례입니다.


그리고 지금도 딥마인드는 이 기술을 더 넓은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바둑을 넘어 AI가 인간의 창의성과 전략을 어떻게 넘어설 수 있을지를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남을 것입니다.